분야별 논문보기
APP별 논문보기
- 2d_comp_p
- 2d_continuum_analysis
- 2d_incomp_p
- 2d_yuibm_1
- 3d_electrophysiology_humanhf
- brownian_dynamics
- caffeineedison
- cnt_fet
- cr2d_dyn
- cr2d_st
- csd_elast
- csd_eplast
- dock
- dpd_linear_polymer
- edava
- edisondesigner
- edwave2d
- eklgcmc2
- emega
- galaxytbm
- galaxydock
- galaxyrefine
- galaxytbm
- gamess
- ksec2d_ae
- ksec2d_wm
- lcaodftlab
- m-sketch
- nanowire_fet
- plate_shell_analysis
- pnjunclab
- sfe_calc
- sfe_calc_v2
- solarcell
- solv_freee
- tb_em_negf
- tb_em_negf_tmd
- tb_em_nw
- utb_fet
OLED Dye를 찾기 위한 Ru(bpy)32+의 효율적인 에너지 계산
OLED Dye를 찾기 위한 Ru(bpy)32+의 효율적인 에너지 계산

경진대회: 계산화학 계산화학 » 3회 경진대회
버전 1.0
"최근 유기 발광 다이오드(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: OLED)가 각광받고 있어 이를 개발하기 위한 좀 더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OLED구조의 예측이 필요해지고 있다. 본 연구는 가장 기초적인 OLED dye의 형태인 Ru(bpy)32+와 그와 유사한 구조의 발광 물질이 전기화학발광(ECL)현상을 통해 방출하는 빛의 특성을 계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EDISON 화학 서버의 GAME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Ru(bpy)2+와 유도체들의 바닥상태(ground state)와 첫 번째 들뜬 상태(first excited state)를 계산하였다. Basis set으로는 MINI와 3-21G혹은 SBKJC를 사용하였다. 들뜬 상태 계산은 configuration interaction with single excitation(CIS)을 이용하여 단일항(singlet)과 삼중항(triplet)상태에서 바닥과 들뜬 상태의 최적 구조에 대한 계산을 수행하였다. 다양한 방법으로 방출 파장을 계산한 결과를 바탕으로 Ru(bpy)32+와 다양한 유도체들의 에너지 계산에 어떤 방법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지 탐색하였다. 같은 계산방법들이 중심 금속 이리듐(Ir)인 분자에도 적용이 될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Ir(mppy)3에도 적용하였다.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방식은 시간을 절약하고 더 효율적인 Ru(bpy)32+ 유도체 계산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."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