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야별 논문보기
APP별 논문보기
- 2d_comp_p
- 2d_continuum_analysis
- 2d_incomp_p
- 2d_yuibm_1
- 3d_electrophysiology_humanhf
- brownian_dynamics
- caffeineedison
- cnt_fet
- cr2d_dyn
- cr2d_st
- csd_elast
- csd_eplast
- dock
- dpd_linear_polymer
- edava
- edisondesigner
- edwave2d
- eklgcmc2
- emega
- galaxytbm
- galaxydock
- galaxyrefine
- galaxytbm
- gamess
- ksec2d_ae
- ksec2d_wm
- lcaodftlab
- m-sketch
- nanowire_fet
- plate_shell_analysis
- pnjunclab
- sfe_calc
- sfe_calc_v2
- solarcell
- solv_freee
- tb_em_negf
- tb_em_negf_tmd
- tb_em_nw
- utb_fet
TMD FET와 2차원 silicon single layer FET의 소자 특성 비교
TMD FET와 2차원 silicon single layer FET의 소자 특성 비교

경진대회: 나노물리 나노물리 » 6회 경진대회
버전 1.2
단층 MoS2와 단층 실리콘을 채널 물질로 사용한 TMD FET과 UTB FET의 소자 특성 분석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. TMD FET과 UTB FET의 채널과 oxide 두께를 변화시켜가며 각 각의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의 특성과 subthreshold swing 등을 분석하였으며, 채널과 oxide 두께가 얇을수록 단채널 효과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. 얇은 채널을 사용하는 트랜지스터의 최적 구동 조건은 채널과 oxide 층의 두께가 1 nm 정도 되어야 한다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TMD FET과 UTB FET의 소자 특성을 상호 비교해 보았으며 TMD FET의 SS값이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