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야별 논문보기
APP별 논문보기
- 2d_comp_p
- 2d_continuum_analysis
- 2d_incomp_p
- 2d_yuibm_1
- 3d_electrophysiology_humanhf
- brownian_dynamics
- caffeineedison
- cnt_fet
- cr2d_dyn
- cr2d_st
- csd_elast
- csd_eplast
- dock
- dpd_linear_polymer
- edava
- edisondesigner
- edwave2d
- eklgcmc2
- emega
- galaxytbm
- galaxydock
- galaxyrefine
- galaxytbm
- gamess
- ksec2d_ae
- ksec2d_wm
- lcaodftlab
- m-sketch
- nanowire_fet
- plate_shell_analysis
- pnjunclab
- sfe_calc
- sfe_calc_v2
- solarcell
- solv_freee
- tb_em_negf
- tb_em_negf_tmd
- tb_em_nw
- utb_fet
Kline-Fogleman Airfoil의 공력특성 연구
Kline-Fogleman Airfoil의 공력특성 연구

경진대회: 전산열유체 전산열유체 » 2회 경진대회
버전 1.2
NACA 계열 익형의 경우 양력 계수와 양항비는 레이놀즈수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초소형 항공기에 적용이 어렵다. 따라서 저레이놀즈수 영역에서 높은 양항비를 가지는 익형의 개발이 필요하다.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 조종 비행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KF Airfoil이 저레이놀즈수 영역에서 효율이 좋을 것이라 기대되어 연구를 수행하였다. EDISON CFD와 Fluent를 이용하여 3 × 10³ ~ 3 × 10⁶ 레이놀즈수 범위에서 KF Airfoil의 공력계수 해석을 수행하였다. 그 결과 8 × 10³ ∼ 1 × 10⁵ 레이놀즈수 영역에서 양항비가 향상되었고 1 × 10⁴ 영역에서는 최대 37.3% 향상된 양항비를 확인하였다.
